YTN은 지난 4월 비 내린 날 폭발 사고가 빈발한 군용 리튬 1차 전지의 위험성을 연속 보도해, 군의 후속 대책을 끌어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, 당시 국방부가 약속한 군용 전지 개선 사업은 더디기만 하고, 그러는 사이 폭발과 화재는 또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동오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군대에서 잇따라 발생한 리튬 1차 전지 폭발과 대형 화재. <br /> <br />모두, 비가 온 날이거나 내린 직후였습니다. <br /> <br />[화재 조사 담당자 (지난해 8월) : 많은 비가 오고 있었고 건물 외벽과 방화벽 사이에 틈으로 빗물이 유입….] <br /> <br />원인 가운데 하나는 물에 닿으면 폭발하는 리튬의 특성을 무시한 심각한 관리부실로 추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[박철완 / 전 한국전지학회 상임이사 : 이것도 무기 다루듯이 좀 더 엄격하게 관리해야 했던 거예요. 즉, 부주의가 더 컸던 거예요.] <br /> <br />YTN 보도 이후 국방부는 군용 전지 창고에 열 감지 장비를 설치하는 등의 관리 개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대책 마련 뒤에도 폭발과 화재는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창고 형태의 대형 건물에서 엄청난 양의 연기가 뿜어져 나옵니다. <br /> <br />불이 난 곳은 군에서 쓰고 버린 리튬 전지 등을 폐기하는 업체. <br /> <br />이번에도 화재 전날 비가 내렸고, 관리 부실이 또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. <br /> <br />[고령소방서 관계자 : 기 손상 등에 의해서도 그렇고, 수분이 침투하거나 그러면 리튬은 물에 쉽게 반응하거든요.] <br /> <br />취재진이 확보한 화재 보고서를 보면, 이 업체에서는 2014년부터 올해까지 6차례 불이 났는데 대부분 리튬과 수분의 반응 때문으로 추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0일에는 육군 군수지원단 폐 리튬 전지 창고에서도 불이 났습니다. <br /> <br />역시, 전날 비가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군이 후속 대책으로 발표했던 화재 예방 항온항습기나 열 감지 카메라는 창고에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자칫 불쏘시개가 될 수 있는 폐 리튬 전지를 자동차 배터리 등과 함께 보관해 피해가 컸습니다. <br /> <br />YTN은 국방부 후속대책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군용 전지 창고 공사 수주 현황을 전수조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상반기 전기, 소방, 보수 공사 계약은 모두 16건에 불과합니다. <br /> <br />군용 전지 창고 개선을 위한 예산 자체가 별도로 책정되지 않았고, 다른 곳에서 쓰고 남은 돈이 있으면 끌어다 쓰는 식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군의 현대화 추세와 맞물려 전자 장비가 늘어나면서 군용 전지 폭발 사고가 이어지고 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62905343207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